국립현대미술관 소장품 특별전 《백 투 더 퓨처: 한국 현대미술의 동시대성 탐험기》
국립현대미술관 서울 국립현대미술관 서울 1전시실
2023.06.16(금) - 2024.05.26(일)
국립현대미술관(MMCA, 관장 직무대리 박종달)은 소장품 특별전 《백 투 더 퓨처:한국 현대미술의 동시대성 탐험기》(이하 《백 투 더 퓨처》)를 6월 16일부터 2024년 5월 26일까지 국립현대미술관 서울에서 개최한다.
국립현대미술관은 소장품 수집 정책과 방향에 따라 매년 시기·장르·주제별로 고르게 작품을 수집해오고 있다. 《백 투 더 퓨처》는 2018년부터 2022년까지 5년간 수집된 소장품들을 집중 연구한 결과, 공성훈, 김범, 박이소 등 1990년대 시대전환기를 예술적 토양으로 삼아 한국 현대미술의 동시대적 양상을 드러낸 작가들의 작품이 다수 수집되었다는 점에 착안해 기획되었다.
전시명은 1985년작 헐리우드 영화 「백 투 더 퓨처」(Back to the Future)와 동명이다. 영화 속 주인공 마티가 1985년을 기점으로 타임머신을 타고 30년 전후로 시간여행을 하며 시공간이 충돌하는 이야기를 담은 이 영화가 국내에 개봉된 1987년은 한국 현대미술의 동시대성 맥락이 형성되기 시작한 때이다. 1980년대 말부터 1990년대는 대내외적으로 급변하는 정치·사회·경제적 상황만큼이나 영화, 음악, 만화 등 대중문화예술이 당시 새로운 세대에게 큰 영향을 끼쳤다. 시대 변환과 맞물려 전개된 전향적 세대 전환은 이 시기의 가장 핵심적인 변화라 할 수 있는데 기존 관습이 묻어나지 않고, 이전 논리로는 해석되지 않는 현상과 상황을 거리낌 없이 타고 넘는 세대의 탄생은 이 시기를 정의하는 주요 기제이다.
이러한 시대적 상황을 반영하여 한국 현대미술 동시대성의 맥락이 형성된 1990년대를 중심으로 1980년대 후반부터 2010년대까지를 상호 영향 범위로 설정하고, 1980년대 말 1990년대 초 작가적 정체성을 구축한 작가들의 당시 작업과 최근으로 이어진 그들의 작품 활동을 소개한다. 또한 20세기 말에서 21세기 초 아날로그와 디지털이 교차, 혼재하던 시기를 관통하며 성장하고 한국 미술사에 등장하여 현재 현대미술계 주요 작가로 자리매김한 작가들의 작품도 함께 선보인다.
전시는 4개의 섹션으로 구성된다. ‘시대 변환과 미술 지형 변동’, ‘불일치의 활성화’, ‘이질성과 그 비평적 시공간’, 그리고 ‘미래 간섭 혹은 미래 개입’, 각 섹션별 작품 구성을 통해 1990년대를 관통하여 2000년대로 이어지는 시기 한국 현대미술의 동시대성이 형성된 맥락과 오늘날 현대미술의 주요 양상을 확인할 수 있다.
‘시대 변환과 미술 지형 변동’ 에서는 ‘동시대성’의 관점에서 발현한 미술 행위들을 살펴본다. 1990년대부터 2000년대까지 한국 현대미술은 전 세계적 변화 상황과 이와 연관된 한국의 사회 환경을 그대로 흡수했기 때문에 보편적이면서 특정적이다. 이에, 이번 전시의 시작점에서 최근 5년간 미술관이 수집한 작품들 중 공성훈, 김범, 박이소, 이동기, 이용백, 최정화 등의 작품을 통해 한국 현대미술의 동시대적 양상의 형성이 의미하는 바를 살펴본다.
‘불일치의 활성화’ 에서는 ‘동시대성’이 단순한 시간적 차원의 개념이 아니라 기존의 헤게모니 구조에 대한 문제제기 차원임을 미디어 작업들을 통해 바라본다. 싱글채널 비디오의 본격적인 개화시기를 1990년대 말부터로 보고, 비선형적 이야기 구조, 분절적 화면 전개, 시간적 굴절, 시청각적 감각의 뒤틀림 등의 미디어 작품의 어법들이 본격적으로 드러나기 시작한 시기를 살펴본다. 김세진, 박화영, 유비호, 함양아 등의 초기 미디어 작업을 주로 소개한다.
‘이질성과 그 비평적 시공간’ 에서는 1990년대 이전 급격한 산업화와 근대화를 통한 고도성장의 수혜와 폐해가 교차 충돌하고 서로 다른 시간들이 혼재된 혼돈과 새로움의 역동 속에서 성장하며 창작 역량을 구축한 작가들의 작품을 소개한다. 장르와 영역 사이의 관습적 구분에 갇히지 않고, 국내외 변화 흐름을 빠르게 간파하며 환경을 거침없이 받아들였던 구동희, 김두진, 김상돈, 노재운, 금혜원, 노충현, 정재호 등의 작품을 만나본다.
‘미래 간섭 혹은 미래 개입’ 에서는 1990년대 형성된 국내 현대미술의 동시대성이 ‘지금 여기’ 미디어 작업을 통해 어떻게 전개되고 확장되었는지를 보여준다. 복합적인 시공간의 관계망을 보여주는 김아영, 남화연, 안정주 등의 2010년대 전후 미디어 작업까지 한국 동시대 미술의 전반적인 흐름을 들여다보고자 한다.
서울관의 1전시실에서 약 1년간 개최되는 이번 전시는 동시대미술을 선보이는 대표 미술관 서울관에서 국립현대미술관이 최근 수집한 주요 소장품을 통해 한국 현대미술의 동시대성 형성과 의미를 추적하고 국내외 관람객들에게 폭넓게 선보이는 전시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국립현대미술관은 소장품 수집 정책과 방향에 따라 매년 시기·장르·주제별로 고르게 작품을 수집해오고 있다. 《백 투 더 퓨처》는 2018년부터 2022년까지 5년간 수집된 소장품들을 집중 연구한 결과, 공성훈, 김범, 박이소 등 1990년대 시대전환기를 예술적 토양으로 삼아 한국 현대미술의 동시대적 양상을 드러낸 작가들의 작품이 다수 수집되었다는 점에 착안해 기획되었다.
전시명은 1985년작 헐리우드 영화 「백 투 더 퓨처」(Back to the Future)와 동명이다. 영화 속 주인공 마티가 1985년을 기점으로 타임머신을 타고 30년 전후로 시간여행을 하며 시공간이 충돌하는 이야기를 담은 이 영화가 국내에 개봉된 1987년은 한국 현대미술의 동시대성 맥락이 형성되기 시작한 때이다. 1980년대 말부터 1990년대는 대내외적으로 급변하는 정치·사회·경제적 상황만큼이나 영화, 음악, 만화 등 대중문화예술이 당시 새로운 세대에게 큰 영향을 끼쳤다. 시대 변환과 맞물려 전개된 전향적 세대 전환은 이 시기의 가장 핵심적인 변화라 할 수 있는데 기존 관습이 묻어나지 않고, 이전 논리로는 해석되지 않는 현상과 상황을 거리낌 없이 타고 넘는 세대의 탄생은 이 시기를 정의하는 주요 기제이다.
이러한 시대적 상황을 반영하여 한국 현대미술 동시대성의 맥락이 형성된 1990년대를 중심으로 1980년대 후반부터 2010년대까지를 상호 영향 범위로 설정하고, 1980년대 말 1990년대 초 작가적 정체성을 구축한 작가들의 당시 작업과 최근으로 이어진 그들의 작품 활동을 소개한다. 또한 20세기 말에서 21세기 초 아날로그와 디지털이 교차, 혼재하던 시기를 관통하며 성장하고 한국 미술사에 등장하여 현재 현대미술계 주요 작가로 자리매김한 작가들의 작품도 함께 선보인다.
전시는 4개의 섹션으로 구성된다. ‘시대 변환과 미술 지형 변동’, ‘불일치의 활성화’, ‘이질성과 그 비평적 시공간’, 그리고 ‘미래 간섭 혹은 미래 개입’, 각 섹션별 작품 구성을 통해 1990년대를 관통하여 2000년대로 이어지는 시기 한국 현대미술의 동시대성이 형성된 맥락과 오늘날 현대미술의 주요 양상을 확인할 수 있다.
‘시대 변환과 미술 지형 변동’ 에서는 ‘동시대성’의 관점에서 발현한 미술 행위들을 살펴본다. 1990년대부터 2000년대까지 한국 현대미술은 전 세계적 변화 상황과 이와 연관된 한국의 사회 환경을 그대로 흡수했기 때문에 보편적이면서 특정적이다. 이에, 이번 전시의 시작점에서 최근 5년간 미술관이 수집한 작품들 중 공성훈, 김범, 박이소, 이동기, 이용백, 최정화 등의 작품을 통해 한국 현대미술의 동시대적 양상의 형성이 의미하는 바를 살펴본다.
‘불일치의 활성화’ 에서는 ‘동시대성’이 단순한 시간적 차원의 개념이 아니라 기존의 헤게모니 구조에 대한 문제제기 차원임을 미디어 작업들을 통해 바라본다. 싱글채널 비디오의 본격적인 개화시기를 1990년대 말부터로 보고, 비선형적 이야기 구조, 분절적 화면 전개, 시간적 굴절, 시청각적 감각의 뒤틀림 등의 미디어 작품의 어법들이 본격적으로 드러나기 시작한 시기를 살펴본다. 김세진, 박화영, 유비호, 함양아 등의 초기 미디어 작업을 주로 소개한다.
‘이질성과 그 비평적 시공간’ 에서는 1990년대 이전 급격한 산업화와 근대화를 통한 고도성장의 수혜와 폐해가 교차 충돌하고 서로 다른 시간들이 혼재된 혼돈과 새로움의 역동 속에서 성장하며 창작 역량을 구축한 작가들의 작품을 소개한다. 장르와 영역 사이의 관습적 구분에 갇히지 않고, 국내외 변화 흐름을 빠르게 간파하며 환경을 거침없이 받아들였던 구동희, 김두진, 김상돈, 노재운, 금혜원, 노충현, 정재호 등의 작품을 만나본다.
‘미래 간섭 혹은 미래 개입’ 에서는 1990년대 형성된 국내 현대미술의 동시대성이 ‘지금 여기’ 미디어 작업을 통해 어떻게 전개되고 확장되었는지를 보여준다. 복합적인 시공간의 관계망을 보여주는 김아영, 남화연, 안정주 등의 2010년대 전후 미디어 작업까지 한국 동시대 미술의 전반적인 흐름을 들여다보고자 한다.
서울관의 1전시실에서 약 1년간 개최되는 이번 전시는 동시대미술을 선보이는 대표 미술관 서울관에서 국립현대미술관이 최근 수집한 주요 소장품을 통해 한국 현대미술의 동시대성 형성과 의미를 추적하고 국내외 관람객들에게 폭넓게 선보이는 전시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작가 | 공성훈, 김범, 박이소 등 21명 |
전시장 | 국립현대미술관 서울 (MMCA SEOUL, 国立現代美術館ソウル) 국립현대미술관 서울 1전시실 |
주소 | 03062 서울 종로구 삼청로 30 |
오시는 길 | 3호선 안국역 1번 출구 |
기간 | 2023.06.16(금) - 2024.05.26(일) |
관람시간 | 10:00 - 18:00 10:00 - 21:00 (수요일, 토요일) |
휴일 | 1월 1일, 설날, 추석 |
SNS | |
웹사이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