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dograph パドグラフ 파도그래프

첫머리 찾기

WWW SPACE

2024.01.17(수) - 27(토)

MAP
SHARE
Facebook share button
Image 2255
세계라고 지칭하는 어떤 풍경 전체를 실(line)이 뭉쳐진 덩어리로 가늠해 보았다. 연상의 출발점은 네 사람이 손길이 낳은 형상이었다. 실천과 그로부터 파생된 물질(작품)들 그리고 여기 맞닿은 이야기 사이에서 유연하고 연쇄적인 어떤 덩어리가 떠올랐다. 작용에 따라 무게가 반응하고, 부드러운 자극으로 이어지고, 때때로는 옭아매기도 하면서 무작위로 어우러지고 확장하는 커다란 덩어리.

이 연상을 바탕에 두고 ‘첫머리 찾기’란 문구를 대화의 서두에 배치했다. 단어 ‘실마리’에 함의된 (타래 속 첫머리를 찾는) 행동을 대화의 물꼬를 트기 위한 도구로 끌어들였다. ‘타래’와 ‘첫머리’는 대화 속에서 그 의미도 표현도 시시각각 확장됐다. 정의를 훑고, 존재를 반문하고, 상징을 떠올리거나, 역할을 부여하며 스스로의 위치를 추적하거나 비유해 보기도 했다. ‘첫머리 찾기’는 그렇게 네 사람의 세계관을 훑어내는 확대경의 역할을 했다.

실과 실 사이의 관계를 묻고 질의를 이으면서 네 사람의 동사에 힘이 실리는 것을 발견했다. 어떤 테두리를 지닌 명사보다 그 사이 공간을 누비는 동사가 보다 맞닿아있던 이들은 명사와 명사 사이 여백을 동사로 이어보는 시도를 해내고 있다.

타래의 사이에서, 네 사람은 각자의 동사를 다음과 같이 실천한다:

마루소는 ‘방황한다’. 어떤 목적을 두고 길에 오르지만 목적은 사실상 수행(과정)을 발생시키는 수단에 불과하다. 예로, 그는 자신의 걸음에 ‘완벽한 그림자를 찾겠다’는 식의 다짐을 하고서 그림자를 찾는 등의 행동을 실천한다. 그러나 완벽한 그림자를 찾고자 하는 의도는 망각되고, 그저 수많은 그림자를 채집하게 된 과정을 깊이 향유한다. 이후 여정은 또 다른 목적으로 자연스럽게 방향을 달리하고, 이 과정은 반복된다. 그는 채집한 장면들을 본인이 설정한 독특한 캐릭터, ‘마루소’를 화자로 삼아 정리하고 내건다. 캐릭터는 과정 중 끊임없이 발생하는 사건과 상태를 증언하는 역할로 장면들의 흐름을 잇는다. 시점을 대변하기 위해 이야기에 삽입되는 장면들은 다양한 형을 지닌 채 우리 앞에 꺼내어지곤 한다.

김영재는 ‘그을린다’. 그는 불의 붉은 부분이 어떤 부분에 닿아 검고 작은 탄소의 분을 만들어내는 과정을 경유해 우연하고 새로운 형상을 의도하거나 발견하고, 이를 표현으로 취한다. 불과 그을음을 마치 붓과 먹처럼 다루면서도 파생되는 것들은 그가 확언할 수 없는 우연으로 가득 차있다. 그는 특히 가래떡을 주로 그을린다. 팬데믹 시기에 도태된 육체를 감각하던 당시 떡을 구워 먹기 위해 점화한 가스불에 덩어리 표면이 그을려가는 모습을 보면서 미적인 흥미, 나아가 죽음과 삶의 경계를 목도하는 감각을 느낀 후 이를 화면 속으로 끌고 왔다. 그을린 떡의 몸은 삶과 죽음의 경계의 상징이 되어 공간에 놓인다. 이처럼 생사의 모호한 경계를 질문하는 그의 발화는 그을린 몸으로 풀이되는 중이다.

다이는 ‘물들인다’. 출발은 몸에 새겨진 습관이 신체를 보다 주도하게 된 치매의 할머니가 필요치 않은 가사노동을 반복하던 모습, 그중에서도 빨지 않아도 되는 깨끗한 천을 빨고 너는 행동에 있었다. 할머니의 반복되는 행동을 관찰한 다이는 이를 몸으로 따라갈 수 있는 ‘물들이기(dyeing)’동작을 화면에 심었다. 동작을 거쳐 나온 화면은 할머니(혹은 할머니들)의 행동과 말에서 향유할 수 있는 총체를 은유한다. 골라진 실의 두께, 메 만져 고른 천의 질감, 가늠된 간격, 그 이후 주름, 얼룩 등을 더듬고 곱씹으면서 회화는 발생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품어진 시간과 그 축적은 화면과 화면 사이에 온윤하고 애틋한 대기를 만들어낸다.

옥정빈은 몸을 구토하듯 ‘빚어낸다’. 그는 내면에 깊은 울화를 이 동작의 원리로 삼는다. 집단(한국, 가족, 회사 등으로 불리는)에 소속된 채 직간접적인 피격의 대상이 되어가는 경험을 바탕으로 몸에 물든 부정한 감각을 표현한다. 시점에 따라 ‘피해자’이기도 ‘가해자’이기도 한 간극에서 발생하는 낙차의 감각을 수시로 겪으면서 통제 불가한 상태를 경험했다. 당시의 통제 불가능한 몸을 증언하는 그는 배설물에 가까운 조형을 추출한다. ‘빚어진 구토 인간’ 연작을 예로, 사이사이 구멍이 난 어떤 덩어리는 그가 감각하는 육체를 이해할 수 있는 단서가 된다. 그가 빚은 몸들은 소화 불가능한 슬픔과 분노, 통제 밖의 상태와 함께 달라붙은 불쾌를 눌러 담은 덩어리다.

네 사람의 타래를 거쳐 ‘첫머리 찾기’는 전시의 이름이 되었다. 선과 선 사이의 동사, 그로부터 만들어진 피조물로 독해 가능한 이 전시는 대화의 연장이다. 점점 확장될 타래, 그 사이에서 당신의 타래는 어떻게 생겼는지, 당신의 동사는 무엇인지 물어본다.

- 글, 마루소

출처

작가마루소, 김영재, 다이, 옥정빈
전시장WWW SPACE
주소
04009
서울특별시 마포구 망원로6길 37
오시는 길망원역 2번 출구에서678m
기간2024.01.17(수) - 27(토)
관람시간13:00 - 19:00, 전시 마지막날 13:00 - 16:00
휴일월요일, 화요일
웹사이트